2015-16년 UEFA 챔피언스리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5-16년 UEFA 챔피언스리그는 2015년 6월부터 2016년 5월까지 진행된 유럽 클럽 대항전으로, 2013년 UEFA 집행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대회 방식에 변화가 있었다. 레알 마드리드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를 승부차기 끝에 꺾고 우승을 차지했으며, 크리스티아누 호날두가 16골로 득점왕에 올랐다. 대회는 예선, 조별 리그, 결선 토너먼트 순으로 진행되었으며, 각 조 1, 2위 팀이 16강에 진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5-16년 UEFA 챔피언스리그 - 2016 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
2016년 5월 28일 밀라노의 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에서 열린 2016 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은 레알 마드리드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간의 경기로, 레알 마드리드가 승부차기 끝에 승리하여 통산 11번째 우승을 차지했으며, 앨리샤 키스의 개막식 공연과 안드레아 보첼리의 UEFA 챔피언스 리그 앤섬 연주로 화제를 모았다. - UEFA 챔피언스리그 시즌 - 1998-99년 UEFA 챔피언스리그
1998-99년 UEFA 챔피언스리그는 1998년 9월부터 1999년 5월까지 개최되었으며, 맨체스터 유나이티드가 바이에른 뮌헨을 꺾고 우승했고, 안드리 세브첸코와 드와이트 요크가 8골로 공동 득점왕을 기록했다. - UEFA 챔피언스리그 시즌 - 1996-97년 UEFA 챔피언스리그
1996-97년 UEFA 챔피언스리그는 1996년 7월부터 1997년 5월까지 열린 유럽 축구 클럽 대항전으로, 보루시아 도르트문트가 유벤투스를 꺾고 우승했으며 이탈리아는 두 팀을 조별 리그에 진출시킨 최초의 국가가 되었다. - 2015년 축구 - 2015년 AFC 아시안컵
2015년 AFC 아시안컵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개최된 아시아 축구 연맹 주최의 국제 축구 대회로, 16개국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를 거쳐 오스트레일리아가 우승, 대한민국이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마시모 루옹고가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었다. - 2015년 축구 - 2015년 국제 축구 연맹 부패 사건
2015년 국제축구연맹 부패 사건은 미국 법무부의 FIFA 고위 간부 기소를 시작으로 월드컵 유치 및 방송권 관련 뇌물, 돈세탁 등의 조직적 범죄가 드러나 제프 블라터 회장 사퇴 및 FIFA 개혁을 촉구하고 국제적 파장을 일으킨 사건이다.
2015-16년 UEFA 챔피언스리그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이름 | UEFA 챔피언스리그 |
시즌 | 2015-16 |
![]() | |
일정 | 예선: 2015년 6월 30일 - 2015년 8월 26일 본선: 2015년 9월 15일 - 2016년 5월 28일 |
참가 팀 수 | 본선: 32팀 총: 78팀 |
참가 협회 수 | 53 |
우승 팀 | 레알 마드리드 11회 우승 |
준우승 팀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총 경기 수 | 125 |
총 득점 수 | 347 |
총 관중 수 | 5,114,427 |
최다 득점 선수 |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레알 마드리드) 16골 |
이전 시즌 | 2014-15 |
다음 시즌 | 2016-17 |
2. 대회 방식 변화
2013년 5월에 열린 UEFA 집행위원회는 2015-16 시즌부터 2017-18 시즌까지 3년 주기로 UEFA 챔피언스 리그에 대한 몇 가지 변경 사항을 승인했다.[4]
- 이전 시즌 UEFA 유로파 리그 우승팀은 UEFA 챔피언스 리그에 진출한다. 최소한 플레이오프 라운드부터 참가하며, 챔피언스 리그 우승팀 자격으로 진출하는 팀이 없을 경우 조별 리그에 진출한다.
- 한 협회당 최대 4팀으로 제한되었던 출전 팀 수가 5팀으로 늘어난다. 챔피언스 리그 우승팀 또는 유로파 리그 우승팀이 상위 3개 협회 소속이고 (둘 다 같은 협회 소속이 아닌 경우) 자국 리그에서 4위 밖으로 순위를 마감하더라도, 해당 협회의 4위 팀은 토너먼트 참가가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챔피언스 리그 우승팀과 유로파 리그 우승팀 모두 상위 3개 협회 소속이고 자국 리그에서 4위 밖으로 순위를 마감하는 경우, 해당 협회의 4위 팀은 유로파 리그로 이동한다.[5]
3. 참가 팀 및 배정
2015-16년 UEFA 챔피언스리그에서 협회 순위는 2009-10 시즌부터 2013-14 시즌까지의 유럽 대항전 성적을 반영하여 UEFA 계수에 따라 결정되었다.[66][67] 각 협회는 2014년 UEFA 국가 계수에 따라 출전 팀 배정을 받는다.[8][9]
순위 | 협회 | 계수 | 팀 수 | 비고 |
---|---|---|---|---|
1 | 스페인 | 97.713 | 4 | |
2 | 잉글랜드 | 84.748 | ||
3 | 독일 | 81.641 | ||
4 | 이탈리아 | 66.938 | 3 | |
5 | 포르투갈 | 62.299 | ||
6 | 프랑스 | 56.500 | ||
7 | 러시아 | 46.998 | 2 | |
8 | 네덜란드 | 44.312 | ||
9 | 우크라이나 | 40.966 | ||
10 | 벨기에 | 36.300 | ||
11 | 터키 | 34.200 | ||
12 | 그리스 | 33.600 | ||
13 | 스위스 | 33.225 | ||
14 | 오스트리아 | 30.925 | ||
15 | 체코 | 29.350 | ||
16 | 루마니아 | 27.257 | 1 | |
17 | 이스라엘 | 26.875 | ||
18 | 키프로스 | 23.250 |
순위 | 협회 | 계수 | 팀 수 | 비고 |
---|---|---|---|---|
19 | 덴마크 | 21.300 | 1 | |
20 | 크로아티아 | 19.625 | ||
21 | 폴란드 | 18.875 | ||
22 | 벨라루스 | 18.625 | ||
23 | 스코틀랜드 | 16.566 | ||
24 | 스웨덴 | 16.325 | ||
25 | 불가리아 | 15.625 | ||
26 | 노르웨이 | 14.275 | ||
27 | 세르비아 | 14.125 | ||
28 | 헝가리 | 11.625 | ||
29 | 슬로베니아 | 11.000 | ||
30 | 슬로바키아 | 11.000 | ||
31 | 몰도바 | 10.375 | ||
32 | 아제르바이잔 | 10.375 | ||
33 | 조지아 | 9.875 | ||
34 | 카자흐스탄 | 8.250 | ||
35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7.500 | ||
36 | 핀란드 | 7.175 |
순위 | 협회 | 계수 | 팀 수 | 비고 |
---|---|---|---|---|
37 | 아이슬란드 | 6.750 | 1 | |
38 | 라트비아 | 6.250 | ||
39 | 몬테네그로 | 6.000 | ||
40 | 알바니아 | 5.500 | ||
41 | 리투아니아 | 5.250 | ||
42 | 북마케도니아 | 5.250 | ||
43 | 아일랜드 | 5.125 | ||
44 | 룩셈부르크 | 4.875 | ||
45 | 몰타 | 4.833 | ||
46 | 리히텐슈타인 | 4.500 | 0 | |
47 | 북아일랜드 | 3.625 | 1 | |
48 | 웨일스 | 3.000 | ||
49 | 아르메니아 | 2.875 | ||
50 | 에스토니아 | 2.875 | ||
51 | 페로 제도 | 2.125 | ||
52 | 산마리노 | 0.999 | ||
53 | 안도라 | 0.833 | ||
54 | 지브롤터 | 0.000 |
국가 계수에 따른 배정 외에, 유로파 리그 우승팀에게는 추가 출전권이 부여된다.
3. 1. 협회 순위
2015-16년 UEFA 챔피언스리그에서 협회 순위는 2009-10 시즌부터 2013-14 시즌까지의 유럽 대항전 성적을 반영하여 UEFA 계수에 따라 결정되었다.[66][67] 각 협회는 2014년 UEFA 국가 계수에 따라 출전 팀 배정을 받는다.[8][9]순위 | 협회 | 계수 | 팀 수 | 비고 |
---|---|---|---|---|
1 | 스페인 | 97.713 | 4 | |
2 | 잉글랜드 | 84.748 | ||
3 | 독일 | 81.641 | ||
4 | 이탈리아 | 66.938 | 3 | |
5 | 포르투갈 | 62.299 | ||
6 | 프랑스 | 56.500 | ||
7 | 러시아 | 46.998 | 2 | |
8 | 네덜란드 | 44.312 | ||
9 | 우크라이나 | 40.966 | ||
10 | 벨기에 | 36.300 | ||
11 | 터키 | 34.200 | ||
12 | 그리스 | 33.600 | ||
13 | 스위스 | 33.225 | ||
14 | 오스트리아 | 30.925 | ||
15 | 체코 | 29.350 | ||
16 | 루마니아 | 27.257 | 1 | |
17 | 이스라엘 | 26.875 | ||
18 | 키프로스 | 23.250 |
순위 | 협회 | 계수 | 팀 수 | 비고 |
---|---|---|---|---|
19 | 덴마크 | 21.300 | 1 | |
20 | 크로아티아 | 19.625 | ||
21 | 폴란드 | 18.875 | ||
22 | 벨라루스 | 18.625 | ||
23 | 스코틀랜드 | 16.566 | ||
24 | 스웨덴 | 16.325 | ||
25 | 불가리아 | 15.625 | ||
26 | 노르웨이 | 14.275 | ||
27 | 세르비아 | 14.125 | ||
28 | 헝가리 | 11.625 | ||
29 | 슬로베니아 | 11.000 | ||
30 | 슬로바키아 | 11.000 | ||
31 | 몰도바 | 10.375 | ||
32 | 아제르바이잔 | 10.375 | ||
33 | 조지아 | 9.875 | ||
34 | 카자흐스탄 | 8.250 | ||
35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7.500 | ||
36 | 핀란드 | 7.175 |
순위 | 협회 | 계수 | 팀 수 | 비고 |
---|---|---|---|---|
37 | 아이슬란드 | 6.750 | 1 | |
38 | 라트비아 | 6.250 | ||
39 | 몬테네그로 | 6.000 | ||
40 | 알바니아 | 5.500 | ||
41 | 리투아니아 | 5.250 | ||
42 | 북마케도니아 | 5.250 | ||
43 | 아일랜드 | 5.125 | ||
44 | 룩셈부르크 | 4.875 | ||
45 | 몰타 | 4.833 | ||
46 | 리히텐슈타인 | 4.500 | 0 | |
47 | 북아일랜드 | 3.625 | 1 | |
48 | 웨일스 | 3.000 | ||
49 | 아르메니아 | 2.875 | ||
50 | 에스토니아 | 2.875 | ||
51 | 페로 제도 | 2.125 | ||
52 | 산마리노 | 0.999 | ||
53 | 안도라 | 0.833 | ||
54 | 지브롤터 | 0.000 |
국가 계수에 따른 배정 외에, 유로파 리그 우승팀에게는 추가 출전권이 부여된다.
4. 경기 일정
UEFA 챔피언스리그의 일정은 아래와 같다.[65][68][69][10][16][17] 본선 조별리그 조추첨은 모나코에서, 나머지 단계의 조추첨은 스위스 니옹 소재 유럽축구연맹 본부에서 개최된다.
Phase | 단계 | 조추첨일 | 1차전 | 2차전 |
---|---|---|---|---|
예선 | 1차예선 | 2015년 6월 22일 | 2015년 6월 30일-7월 1일 | 2015년 7월 7-8일 |
2차예선 | 2015년 7월 14-15일 | 2015년 7월 21-22일 | ||
3차예선 | 2015년 7월 17일 | 2015년 7월 28-29일 | 2015년 8월 4-5일 | |
플레이오프 | 플레이오프 | 2015년 8월 7일 | 2015년 8월 18-19일 | 2015년 8월 25-26일 |
조별 리그 | 경기일 1 | 2015년 8월 27일 (모나코) | 2015년 9월 15–16일 | |
경기일 2 | 2015년 9월 29–30일 | |||
경기일 3 | 2015년 10월 20–21일 | |||
경기일 4 | 2015년 11월 3–4일 | |||
경기일 5 | 2015년 11월 24–25일 | |||
경기일 6 | 2015년 12월 8–9일 | |||
토너먼트 | 16강전 | 2015년 12월 14일 | 2016년 2월 16–17일, 23–24일 | 2016년 3월 8–9일, 15–16일 |
8강전 | 2016년 3월 18일 | 2016년 4월 5–6일 | 2016년 4월 12–13일 | |
준결승전 | 2016년 4월 15일 | 2016년 4월 26–27일 | 2016년 5월 3–4일 | |
결승전 | 2016년 5월 28일 이탈리아 밀라노, 산 시로 |
5. 예선
예선전과 플레이오프전에 참가하는 팀들은 UEFA 클럽 계수에 따라 시드배정팀과 비 시드배정팀으로 나뉘게 되며,[70][71] 2회전을 홈 앤 어웨이 경기로 치러 승자를 가린다. 같은 협회 출신의 팀들은 서로 맞대결할 수 없다.
예선 라운드와 플레이오프 라운드에서 팀들은 2015년 UEFA 클럽 계수에 따라 시드 팀과 비시드 팀으로 나뉘었으며,[18][19][20] 이후 2차전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대진이 결정되었다. 같은 협회 소속의 팀들은 서로 대결할 수 없었다.
;1차 예선
2015-16년 UEFA 챔피언스리그 1차 예선에는 총 8팀이 참가했다.[21][22] 1차 예선과 2차 예선 조 추첨은 2015년 6월 22일에 진행되었다.[44][45] 1차전은 2015년 6월 30일과 7월 1일에, 2차전은 2015년 7월 7일에 열렸다.
링컨 레드 임프스는 지브롤터 팀이 UEFA 대회에서 처음으로 승리한 팀이 되었다. 지브롤터 팀이 처음으로 참가 자격을 얻은 지 2년 만의 일이었다.[23]
팀 1 | 팀 2 | 1차전 | 2차전 | |
---|---|---|---|---|
링컨 레드 임프스 | FC 산타콜로마 | 0 - 0 | 2 - 1 | |
크루세이더스 | 레바디아 탈린 | 0 - 0 | 1 - 1 | |
퓨닉 | 폴고레 | 2 - 1 | 2 - 1 | |
B36 토르스하운 | 더 뉴 세인츠 | 1 - 2 | 1 - 4 |
;2차 예선
34개 팀이 2차 예선에 참가한다. 30개 팀이 여기서 합류하며 1차 예선에서 승리한 4개 팀이 참가한다. 1차전은 2015년 7월 14-15일, 2차전은 7월 21-22일에 진행되었다.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하이버니언스 (MLT) | 3:6 | 마카비 텔아비브 (ISR) | 2:1 | 1:5 |
APOEL (CYP) | 1:1 (a) | 바르다르 (MKD) | 0:0 | 1:1 |
카라바흐 (AZE) | 1:0 | 루다르 플레블라 (MNE) | 0:0 | 1:0 |
사라예보 (BIH) | 0:3 | 레흐 포즈난 (POL) | 0:2 | 0:1 |
마리보르 (SVN) | 2:3 | 아스타나 (KAZ) | 1:0 | 1:3 |
BATE 보리소프 (BLR) | 2:1 | 던독 (IRL) | 2:1 | 0:0 |
FK 벤츠필스 (LVA) | 1:4 | HJK 헬싱키 (FIN) | 1:3 | 0:1 |
미튈란 (DEN) | 3:0 | 링컨 레드 임프스 (GIB) | 1:0 | 2:0 |
몰데 (NOR) | 5:1 | 퓨닉 (ARM) | 5:0 | 0:1 |
말뫼 (SWE) | 1:0 | 잘기리스 빌뉴스 (LTU) | 0:0 | 1:0 |
셀틱 (SCO) | 6:1 | FC 스탸르난 (ISL) | 2:0 | 4:1 |
트렌친 (SVK) | 3:4 |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ROM) | 0:2 | 3:2 |
파르티잔 베오그라드 (SRB) | 3:0 | 딜라 고리 (GEO) | 1:0 | 2:0 |
루도고레츠 라즈그라드 (BUL) | 1:3 | 밀사미 오르헤이 (MDA) | 0:1 | 1:2 |
디나모 자그레브 (CRO) | 4:1 | 폴라 에슈 (LUX) | 1:1 | 3:0 |
스컨데르베우 코르처 (ALB) | 6:4 | 크루세이더스 (NIR) | 4:1 | 2:3 |
더 뉴 세인츠 (WAL) | 1:2 | 비데오톤 (HUN) | 0:1 | 1:1 (aet) |
조 추첨 후 대결 순서가 바뀌었다.
;3차 예선
3차 예선은 리그 우승 팀과 비우승 팀으로 나뉘어 진행되며, 각 라운드에서 패배한 팀은 2015-16년 UEFA 유로파리그의 플레이오프 라운드로 이동한다.[24][25] 리그 우승 팀 루트에는 2차 예선에서 승리한 17팀과 3팀이 합류하여 총 20팀이 참가하고, 리그 비우승 팀 루트에는 10팀이 참가한다.
1차전은 2015년 7월 28일과 29일에, 2차전은 2015년 8월 4일과 5일에 진행되었다.[46][47]
리그 우승 팀 루트 | |||||
---|---|---|---|---|---|
레흐 포즈난|POL|2: 3|바젤|SUI| | |||||
밀사미 오르헤이|MDA|0: 4|스컨데르베우 코르처|ALB| | |||||
HJK 헬싱키|FIN|3: 4|아스타나|KAZ| | |||||
셀틱|SCO|1: 0|카라바흐|AZE| | |||||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ROU|3: 5|파르티잔 베오그라드|SRB| | |||||
미튈란|DEN|2: 2 (a)|APOEL|CYP| | |||||
마카비 텔아비브|ISR|3: 2|빅토리아 플젠|CZE| | |||||
디나모 자그레브|CRO|4 (a): 4|몰데|NOR| | |||||
비데오톤|HUN|1: 2|BATE 보리소프|BLR| | |||||
레드불 잘츠부르크|AUT|2: 3|말뫼 FF|SWE| | |||||
비우승 팀 루트 | |||||
파나티나이코스|GRE|2: 4|클럽 브뤼허|BEL| | |||||
BSC 영 보이스|SUI|1: 7|AS 모나코|FRA| | |||||
CSKA 모스크바|RUS|5: 4|스파르타 프라하|CZE| | |||||
라피트 빈|AUT|5: 4|아약스 암스테르담|NED| | |||||
페네르바흐체|TUR|0: 3|샤흐타르 도네츠크|UKR| |
5. 1. 1차 예선
2015-16년 UEFA 챔피언스리그 1차 예선에는 총 8팀이 참가했다.[21][22] 1차 예선과 2차 예선 조 추첨은 2015년 6월 22일에 진행되었다.[44][45] 1차전은 2015년 6월 30일과 7월 1일에, 2차전은 2015년 7월 7일에 열렸다.링컨 레드 임프스는 지브롤터 팀이 UEFA 대회에서 처음으로 승리한 팀이 되었다. 지브롤터 팀이 처음으로 참가 자격을 얻은 지 2년 만의 일이었다.[23]
팀 1 | 팀 2 | 1차전 | 2차전 | |
---|---|---|---|---|
링컨 레드 임프스 | FC 산타콜로마 | 0 - 0 | 2 - 1 | |
크루세이더스 | 레바디아 탈린 | 0 - 0 | 1 - 1 | |
퓨닉 | 폴고레 | 2 - 1 | 2 - 1 | |
B36 토르스하운 | 더 뉴 세인츠 | 1 - 2 | 1 - 4 |
5. 2. 2차 예선
34개 팀이 2차 예선에 참가한다. 30개 팀이 여기서 합류하며 1차 예선에서 승리한 4개 팀이 참가한다. 1차전은 2015년 7월 14-15일, 2차전은 7월 21-22일에 진행되었다.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하이버니언스 (MLT) | 3:6 | 마카비 텔아비브 (ISR) | 2:1 | 1:5 |
APOEL (CYP) | 1:1 (a) | 바르다르 (MKD) | 0:0 | 1:1 |
카라바흐 (AZE) | 1:0 | 루다르 플레블라 (MNE) | 0:0 | 1:0 |
사라예보 (BIH) | 0:3 | 레흐 포즈난 (POL) | 0:2 | 0:1 |
마리보르 (SVN) | 2:3 | 아스타나 (KAZ) | 1:0 | 1:3 |
BATE 보리소프 (BLR) | 2:1 | 던독 (IRL) | 2:1 | 0:0 |
FK 벤츠필스 (LVA) | 1:4 | HJK 헬싱키 (FIN) | 1:3 | 0:1 |
미튈란 (DEN) | 3:0 | 링컨 레드 임프스 (GIB) | 1:0 | 2:0 |
몰데 (NOR) | 5:1 | 퓨닉 (ARM) | 5:0 | 0:1 |
말뫼 (SWE) | 1:0 | 잘기리스 빌뉴스 (LTU) | 0:0 | 1:0 |
셀틱 (SCO) | 6:1 | FC 스탸르난 (ISL) | 2:0 | 4:1 |
트렌친 (SVK) | 3:4 |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ROM) | 0:2 | 3:2 |
파르티잔 베오그라드 (SRB) | 3:0 | 딜라 고리 (GEO) | 1:0 | 2:0 |
루도고레츠 라즈그라드 (BUL) | 1:3 | 밀사미 오르헤이 (MDA) | 0:1 | 1:2 |
디나모 자그레브 (CRO) | 4:1 | 폴라 에슈 (LUX) | 1:1 | 3:0 |
스컨데르베우 코르처 (ALB) | 6:4 | 크루세이더스 (NIR) | 4:1 | 2:3 |
더 뉴 세인츠 (WAL) | 1:2 | 비데오톤 (HUN) | 0:1 | 1:1 (aet) |
조 추첨 후 대결 순서가 바뀌었다.
5. 3. 3차 예선
3차 예선은 리그 우승 팀과 비우승 팀으로 나뉘어 진행되며, 각 라운드에서 패배한 팀은 2015-16년 UEFA 유로파리그의 플레이오프 라운드로 이동한다.[24][25] 리그 우승 팀 루트에는 2차 예선에서 승리한 17팀과 3팀이 합류하여 총 20팀이 참가하고, 리그 비우승 팀 루트에는 10팀이 참가한다.1차전은 2015년 7월 28일과 29일에, 2차전은 2015년 8월 4일과 5일에 진행되었다.[46][47]
리그 우승 팀 루트 | |||||
---|---|---|---|---|---|
레흐 포즈난|POL|2: 3|바젤|SUI| | |||||
밀사미 오르헤이|MDA|0: 4|스컨데르베우 코르처|ALB| | |||||
HJK 헬싱키|FIN|3: 4|아스타나|KAZ| | |||||
셀틱|SCO|1: 0|카라바흐|AZE| | |||||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ROU|3: 5|파르티잔 베오그라드|SRB| | |||||
미튈란|DEN|2: 2 (a)|APOEL|CYP| | |||||
마카비 텔아비브|ISR|3: 2|빅토리아 플젠|CZE| | |||||
디나모 자그레브|CRO|4 (a): 4|몰데|NOR| | |||||
비데오톤|HUN|1: 2|BATE 보리소프|BLR| | |||||
레드불 잘츠부르크|AUT|2: 3|말뫼 FF|SWE| | |||||
비우승 팀 루트 | |||||
파나티나이코스|GRE|2: 4|클럽 브뤼허|BEL| | |||||
BSC 영 보이스|SUI|1: 7|AS 모나코|FRA| | |||||
CSKA 모스크바|RUS|5: 4|스파르타 프라하|CZE| | |||||
라피트 빈|AUT|5: 4|아약스 암스테르담|NED| | |||||
페네르바흐체|TUR|0: 3|샤흐타르 도네츠크|UKR| |
6. 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는 챔피언스 루트(리그 챔피언)와 리그 루트(리그 비챔피언)로 나뉘어 진행되며, 각 루트의 패자는 2015-16 UEFA 유로파리그 조별 리그로 이동한다.[26][27]
플레이오프 대진 추첨은 2015년 8월 7일에 이루어졌다.[48][49] 1차전은 2015년 8월 18일과 19일에, 2차전은 8월 25일과 26일에 열렸다.
챔피언 루트
팀 1 | 결과 | 팀 2 | 1차전 | 2차전 | ||
---|---|---|---|---|---|---|
아스타나 아스타나/Астанаkk | 2 - 1 | 아포엘 | 1 - 0 | 1 - 1 | ||
스컨데르베우 코르처 | 2 - 6 | 디나모 자그레브 | 1 - 2 | 1 - 4 | ||
셀틱 | 3 - 4 | 말뫼 | 3 - 2 | 0 - 2 | ||
바젤 | 3 - 3 (원정) | 마카비 텔아비브 | 2 - 2 | 1 - 1 | ||
바테 보리소프 | 2 - 2 (원정) | 파르티잔 | 1 - 0 | 1 - 2 |
리그 루트
7. 조별 리그
조별 리그 조 추첨은 2015년 8월 27일 모나코에서 열렸다.[28][29] 32개 팀이 4개 팀씩 8개 조로 나뉘었으며, 같은 협회 소속 팀끼리는 같은 조에 속할 수 없다는 제한이 있었다. 조 추첨을 위해, 팀들은 다음과 같은 원칙(이번 시즌부터 도입)에 따라 네 개의 포트로 시드를 배정받았다.[30][31]
- 포트 1에는 전년도 우승팀과 2014년 UEFA 국가 계수를 기준으로 상위 7개 협회의 우승팀이 포함되었다.[8][9] 전년도 우승팀(바르셀로나)이 상위 7개 협회 우승팀 중 하나였으므로, 8위 협회(네덜란드 PSV 에인트호번)의 우승팀도 포트 1에 시드를 배정받았다(규정 조항 13.05).[6]
- 포트 2, 3, 4에는 2015년 UEFA 클럽 계수를 기준으로 남은 팀들이 시드 배정되었다.[18][19][20]
각 조에서 팀들은 리그전 형식으로 홈 앤드 어웨이 경기를 치렀다. 각 조의 1위와 2위 팀은 16강전에 진출했고, 3위 팀은 2015–16 UEFA 유로파 리그 32강전에 진출했다. 경기 일정은 2015년 9월 15–16일, 9월 29–30일, 10월 20–21일, 11월 3–4일, 11월 24–25일, 12월 8–9일이었다.
조별 리그에 진출한 클럽들의 유소년 팀들도 같은 경기일에 2015–16 UEFA 유스 리그에서 경기를 치렀으며, 여기서 UEFA 챔피언스 리그 경로에서 경쟁했다(UEFA 유스 리그가 64개 팀으로 확대되면서, 상위 32개 협회의 유소년 국내 챔피언들은 플레이오프까지 별도의 국내 챔피언 경로에서 경쟁한다).
조별 리그에는 총 17개 국가 협회가 참여했다. 아스타나,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와 KAA 헨트는 조별 리그에 처음으로 출전했다. 아스타나는 챔피언스 리그 조별 리그에 출전한 최초의 카자흐스탄 팀이었다.[32] 조별 리그에 참가하는 같은 협회 소속 팀의 최대 수가 4개에서 5개로 증가하면서, 스페인은 챔피언스 리그 조별 리그에 5개 팀을 보유한 최초의 협회가 되었다.[33] 최고 랭킹 리그에서 세 팀이 모두 리그 루트 플레이오프 라운드에서 승리했으므로, 스페인, 잉글랜드, 독일의 세 국가는 조별 리그에 32개 클럽 중 13개를 보유했다.
타이브레이커 |
---|
팀은 승점 (승리 시 3점, 무승부 시 1점, 패배 시 0점)에 따라 순위가 정해졌다. 조별 경기 종료 시 승점이 같은 두 팀 이상이 있는 경우, 순위를 결정하기 위해 주어진 순서대로 다음 기준이 적용되었다(규정 조항 17.01).[6] |
조 순위 표의 색 정보 |
---|
조 1위와 2위 팀은 16강으로 진출한다. |
조 3위 팀은 UEFA 유로파리그의 32강에 진입한다. |
4위 팀은 유럽 클럽 대항전에서 제외된다. |
마지막 6차전 경기들이 2015년 12월에 시행될 것이므로, 겨울 강추위 때문에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소속팀들(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CSKA 모스크바)과 카자흐스탄 1부리그 소속팀(FC 아스타나)과 벨라루스 1부리그 소속팀(BATE 보리소프)은 마지막 경기를 반드시 원정 경기로 치러야 한다. 대부분의 경기들은 화/수요일 중부유럽표준시[4-10월 UTC+2, 11월-익년 3월 UTC+1 ] 기준 20:45에 시작한다. 단, 러시아와 벨라루스(겨울철(11월-익년 3월)에 한함) 소속 클럽팀들은 겨울철에 한해, 카자흐스탄(1년 내내) 소속 클럽팀은 별도 시간에 경기를 시작한다. 러시아와 벨라루스에서 겨울철에 모스크바 표준시(UTC+3) 기준 20시[중부유럽 겨울표준시 18시]에 시작한다. 카자흐스탄 아스타나에서 카자흐스탄 동부표준시(UTC+6)를 기준으로 한다.
== A조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레알 마드리드 | 6 | 5 | 1 | 0 | 19 | 3 | +16 | 16 |
파리 생제르맹 | 6 | 4 | 1 | 1 | 12 | 1 | +11 | 13 |
샤흐타르 도네츠크 | 6 | 1 | 0 | 5 | 7 | 14 | -7 | 3 |
말뫼 | 6 | 1 | 0 | 5 | 1 | 21 | -20 | 3 |
A조에서는 레알 마드리드(스페인)와 파리 생제르맹(프랑스)이 각각 5승 1무와 4승 1무 1패를 기록하며 1, 2위로 16강에 진출했다. 샤흐타르 도네츠크(우크라이나)와 말뫼(스웨덴)는 각각 1승 5패로 3, 4위를 기록했다.
2015년 9월 15일, 파르크 데 프랭스에서 열린 파리 생제르맹과 말뫼의 경기에서는 디 마리아와 카바니의 골로 파리 생제르맹이 2-0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에스타디오 산티아고 베르나베우에서 열린 레알 마드리드와 샤흐타르 도네츠크의 경기에서는 벤제마의 골과 호날두의 해트트릭으로 레알 마드리드가 4-0 대승을 거두었다.
9월 30일, 스웨드방크 경기장에서 열린 말뫼와 레알 마드리드의 경기에서는 호날두가 2골을 기록하며 레알 마드리드가 2-0으로 승리했다. 아레나 리비우에서 열린 샤흐타르 도네츠크와 파리 생제르맹의 경기에서는 오리에, 다비드 루이스, 스르나(자책골)의 골로 파리 생제르맹이 3-0 승리를 거두었다.
10월 21일, 스웨드방크 경기장에서 열린 말뫼와 샤흐타르 도네츠크의 경기에서는 로센베리의 골로 말뫼가 1-0 승리를 거두었다. 파르크 데 프랭스에서 열린 파리 생제르맹과 레알 마드리드의 경기는 0-0 무승부로 끝났다.
11월 3일, 아레나 리비우에서 열린 샤흐타르 도네츠크와 말뫼의 경기에서는 글라드키, 스르나, 에두아르두, 테이셰이라의 골로 샤흐타르 도네츠크가 4-0 대승을 거두었다.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경기장에서 열린 레알 마드리드와 파리 생제르맹의 경기에서는 나초의 골로 레알 마드리드가 1-0 승리를 거두었다.
11월 25일, 스웨드방크 경기장에서 열린 말뫼와 파리 생제르맹의 경기에서는 라비오, 디 마리아(2골), 이브라히모비치, 모우라의 골로 파리 생제르맹이 5-0 대승을 거두었다. 아레나 리비우에서 열린 샤흐타르 도네츠크와 레알 마드리드의 경기에서는 테이셰이라(2골), 덴팅요의 골로 샤흐타르 도네츠크가 3점을, 호날두(2골), 모드리치, 카르바할의 골로 레알 마드리드가 4점을 기록하며 4-3으로 레알 마드리드가 승리했다.
12월 8일, 파르크 데 프랭스에서 열린 파리 생제르맹과 샤흐타르 도네츠크의 경기에서는 루카스와 이브라히모비치의 골로 파리 생제르맹이 2-0 승리를 거두었다.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경기장에서 열린 레알 마드리드와 말뫼의 경기에서는 벤제마(3골), 호날두(4골), 코비시치의 골로 레알 마드리드가 8-0 대승을 거두었다.
== B조 ==
2015-16년 UEFA 챔피언스리그 B조에서는 독일의 볼프스부르크와 네덜란드의 PSV 에인트호번이 각각 1, 2위를 차지하여 16강에 진출했다. 잉글랜드의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는 3위를 기록하여 유로파리그 32강에 진출했다. 러시아의 CSKA 모스크바는 4위로 탈락했다.
2015년 9월 15일 볼프스부르크는 CSKA 모스크바와의 홈 경기에서 드락슬러의 결승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PSV 에인트호번은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와의 홈 경기에서 2-1 역전승을 거두었다. 모레노와 나르싱이 골을 넣었고,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는 멤피스가 선제골을 넣었으나 PSV 에인트호번에게 패했다.
9월 30일,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는 볼프스부르크와의 홈 경기에서 2-1로 승리했다. 마타의 페널티킥 골과 스몰링의 골로 역전승을 거두었고, 볼프스부르크는 칼리지우리가 선제골을 넣었다. CSKA 모스크바는 PSV 에인트호번과의 홈 경기에서 3-2로 승리했다. 무사와 둠비아가 3골을 합작하며 앞서갔으나, PSV 에인트호번의 레스티엔이 2골을 만회하며 추격했다.
10월 21일, CSKA 모스크바와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는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둠비아가 선제골을 넣었지만, 마샬이 동점골을 기록했다. 볼프스부르크는 PSV 에인트호번과의 홈 경기에서 2-0으로 승리했다. 도스트와 크루제가 골을 기록했다.
11월 3일,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는 CSKA 모스크바와의 홈 경기에서 루니의 결승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PSV 에인트호번은 볼프스부르크와의 홈 경기에서 2-0으로 승리했다. 로카디아와 더 용이 골을 기록했다.
11월 25일, CSKA 모스크바는 볼프스부르크와의 홈 경기에서 0-2로 패배했다. 아킨페예프의 자책골과 쉬얼레의 추가골로 패배했다.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와 PSV 에인트호번은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12월 8일, 볼프스부르크는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와의 홈 경기에서 3-2로 승리하며 조 1위를 확정지었다. 나우두가 2골, 비에이리냐가 1골을 넣었고,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는 마샬과 길라보기의 자책골로 추격했지만 패배했다. PSV 에인트호번은 CSKA 모스크바와의 홈 경기에서 2-1로 승리하며 조 2위를 확정지었다. 더 용과 프뢰퍼가 골을 넣었고, CSKA 모스크바는 이그나셰비치가 페널티킥 골을 넣었지만 패배했다.
== C조 ==
2015-16년 UEFA 챔피언스리그 C조에서는 스페인의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4승 1무 1패, 포르투갈의 벤피카가 3승 1무 2패를 기록하며 16강에 진출했다. 터키의 갈라타사라이는 1승 2무 3패로 조 3위를 차지하여 유로파리그 32강에 진출했다. 카자흐스탄의 아스타나는 4무 2패로 조 최하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6 | 4 | 1 | 1 | 11 | 3 | +8 | 13 |
벤피카 | 6 | 3 | 1 | 2 | 10 | 8 | +2 | 10 |
갈라타사라이 | 6 | 1 | 2 | 3 | 6 | 10 | -4 | 5 |
아스타나 | 6 | 0 | 4 | 2 | 5 | 11 | -6 | 4 |
벤피카 | — | 1-2 | 2-1 | 2-0 |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1-2 | — | 2-0 | 4-0 |
갈라타사라이 | 2-1 | 0-2 | — | 1-1 |
아스타나 | 2-2 | 0-0 | 2-2 | — |
C조의 경기들은 2015년 9월 15일부터 12월 8일까지 진행되었다. 주요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 2015년 9월 15일, 튀르크 텔레콤 아레나에서 열린 갈라타사라이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경기에서는 그리즈만의 2골에 힘입어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2-0으로 승리했다.
- 같은 날 이스타디우 다 루즈에서 열린 벤피카와 아스타나의 경기에서는 가이탄과 미트로글루의 골로 벤피카가 2-0으로 승리했다.
- 9월 30일 비센테 칼데론에서 열린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와 벤피카의 경기에서는 가이탄과 게드스의 연속 골로 벤피카가 2-1 역전승을 거두었다.
- 10월 21일 튀르크 텔레콤 아레나에서 열린 갈라타사라이와 벤피카의 경기에서는 가이탄이 경기 시작 2분 만에 선제골을 넣었으나, 이난과 포돌스키의 연속골로 갈라타사라이가 2-1로 승리하였다.
- 11월 3일 아스타나 아레나에서 열린 아스타나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경기는 0-0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 11월 25일 비센테 칼데론에서 열린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와 갈라타사라이의 경기에서는 그리즈만이 2골을 넣어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2-0으로 승리했다.
- 12월 8일 이스타디우 다 루즈에서 열린 벤피카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경기에서는 니게스와 비에토의 골로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2-1로 승리했다.
== D조 ==
2015-16년 UEFA 챔피언스리그 D조에서는 맨체스터 시티(4승 0무 2패, 12득점 8실점)와 유벤투스(3승 2무 1패, 6득점 3실점)가 각각 1, 2위로 16강에 진출했다. 세비야(2승 0무 4패, 8득점 11실점)는 조 3위로 유로파리그 32강에 진출했고, 보루시아 묀헨글라드바흐(1승 2무 3패, 8득점 12실점)는 조 최하위로 탈락했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width=150|
!width=35|
!width=35|
!width=35|
!width=35|
|-
!유벤투스
!—
|1-0
|0-0
|2-0
|-
!맨체스터 시티
|1-2
!—
|4-2
|2-1
|-
!
7. 1. A조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레알 마드리드 | 6 | 5 | 1 | 0 | 19 | 3 | +16 | 16 |
파리 생제르맹 | 6 | 4 | 1 | 1 | 12 | 1 | +11 | 13 |
샤흐타르 도네츠크 | 6 | 1 | 0 | 5 | 7 | 14 | -7 | 3 |
말뫼 | 6 | 1 | 0 | 5 | 1 | 21 | -20 | 3 |
A조에서는 레알 마드리드(스페인)와 파리 생제르맹(프랑스)이 각각 5승 1무와 4승 1무 1패를 기록하며 1, 2위로 16강에 진출했다. 샤흐타르 도네츠크(우크라이나)와 말뫼(스웨덴)는 각각 1승 5패로 3, 4위를 기록했다.
2015년 9월 15일, 파르크 데 프랭스에서 열린 파리 생제르망과 말뫼의 경기에서는 디 마리아와 카바니의 골로 파리 생제르맹이 2-0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에스타디오 산티아고 베르나베우에서 열린 레알 마드리드와 샤흐타르 도네츠크의 경기에서는 벤제마의 골과 호날두의 해트트릭으로 레알 마드리드가 4-0 대승을 거두었다.
9월 30일, 스웨드방크 경기장에서 열린 말뫼와 레알 마드리드의 경기에서는 호날두가 2골을 기록하며 레알 마드리드가 2-0으로 승리했다. 아레나 리비우에서 열린 샤흐타르 도네츠크와 파리 생제르맹의 경기에서는 오리에, 다비드 루이스, 스르나(자책골)의 골로 파리 생제르맹이 3-0 승리를 거두었다.
10월 21일, 스웨드방크 경기장에서 열린 말뫼와 샤흐타르 도네츠크의 경기에서는 로센베리의 골로 말뫼가 1-0 승리를 거두었다. 파르크 데 프랭스에서 열린 파리 생제르맹과 레알 마드리드의 경기는 0-0 무승부로 끝났다.
11월 3일, 아레나 리비우에서 열린 샤흐타르 도네츠크와 말뫼의 경기에서는 글라드키, 스르나, 에두아르두, 테이셰이라의 골로 샤흐타르 도네츠크가 4-0 대승을 거두었다.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경기장에서 열린 레알 마드리드와 파리 생제르맹의 경기에서는 나초의 골로 레알 마드리드가 1-0 승리를 거두었다.
11월 25일, 스웨드방크 경기장에서 열린 말뫼와 파리 생제르맹의 경기에서는 라비오, 디 마리아(2골), 이브라히모비치, 모우라의 골로 파리 생제르맹이 5-0 대승을 거두었다. 아레나 리비우에서 열린 샤흐타르 도네츠크와 레알 마드리드의 경기에서는 테이셰이라(2골), 덴팅요의 골로 샤흐타르 도네츠크가 3점을, 호날두(2골), 모드리치, 카르바할의 골로 레알 마드리드가 4점을 기록하며 4-3으로 레알 마드리드가 승리했다.
12월 8일, 파르크 데 프랭스에서 열린 파리 생제르맹과 샤흐타르 도네츠크의 경기에서는 루카스와 이브라히모비치의 골로 파리 생제르맹이 2-0 승리를 거두었다.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경기장에서 열린 레알 마드리드와 말뫼의 경기에서는 벤제마(3골), 호날두(4골), 코비시치의 골로 레알 마드리드가 8-0 대승을 거두었다.
7. 2. B조
2015-16년 UEFA 챔피언스리그 B조에서는 독일의 볼프스부르크와 네덜란드의 PSV 에인트호번이 각각 1, 2위를 차지하여 16강에 진출했다. 잉글랜드의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는 3위를 기록하여 유로파리그 32강에 진출했다. 러시아의 CSKA 모스크바는 4위로 탈락했다.
2015년 9월 15일 볼프스부르크는 CSKA 모스크바와의 홈 경기에서 드락슬러의 결승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PSV 에인트호번은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와의 홈 경기에서 2-1 역전승을 거두었다. 모레노와 나르싱이 골을 넣었고,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는 멤피스가 선제골을 넣었으나 PSV 에인트호번에게 패했다.
9월 30일,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는 볼프스부르크와의 홈 경기에서 2-1로 승리했다. 마타의 페널티킥 골과 스몰링의 골로 역전승을 거두었고, 볼프스부르크는 칼리지우리가 선제골을 넣었다. CSKA 모스크바는 PSV 에인트호번과의 홈 경기에서 3-2로 승리했다. 무사와 둠비아가 3골을 합작하며 앞서갔으나, PSV 에인트호번의 레스티엔이 2골을 만회하며 추격했다.
10월 21일, CSKA 모스크바와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는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둠비아가 선제골을 넣었지만, 마샬이 동점골을 기록했다. 볼프스부르크는 PSV 에인트호번과의 홈 경기에서 2-0으로 승리했다. 도스트와 크루제가 골을 기록했다.
11월 3일,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는 CSKA 모스크바와의 홈 경기에서 루니의 결승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PSV 에인트호번은 볼프스부르크와의 홈 경기에서 2-0으로 승리했다. 로카디아와 더 용이 골을 기록했다.
11월 25일, CSKA 모스크바는 볼프스부르크와의 홈 경기에서 0-2로 패배했다. 아킨페예프의 자책골과 쉬얼레의 추가골로 패배했다.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와 PSV 에인트호번은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12월 8일, 볼프스부르크는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와의 홈 경기에서 3-2로 승리하며 조 1위를 확정지었다. 나우두가 2골, 비에이리냐가 1골을 넣었고,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는 마샬과 길라보기의 자책골로 추격했지만 패배했다. PSV 에인트호번은 CSKA 모스크바와의 홈 경기에서 2-1로 승리하며 조 2위를 확정지었다. 더 용과 프뢰퍼가 골을 넣었고, CSKA 모스크바는 이그나셰비치가 페널티킥 골을 넣었지만 패배했다.
7. 3. C조
2015-16년 UEFA 챔피언스리그 C조에서는 스페인의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4승 1무 1패, 포르투갈의 벤피카가 3승 1무 2패를 기록하며 16강에 진출했다. 터키의 갈라타사라이는 1승 2무 3패로 조 3위를 차지하여 유로파리그 32강에 진출했다. 카자흐스탄의 아스타나는 4무 2패로 조 최하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6 | 4 | 1 | 1 | 11 | 3 | +8 | 13 |
벤피카 | 6 | 3 | 1 | 2 | 10 | 8 | +2 | 10 |
갈라타사라이 | 6 | 1 | 2 | 3 | 6 | 10 | -4 | 5 |
아스타나 | 6 | 0 | 4 | 2 | 5 | 11 | -6 | 4 |
벤피카 | — | 1-2 | 2-1 | 2-0 |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1-2 | — | 2-0 | 4-0 |
갈라타사라이 | 2-1 | 0-2 | — | 1-1 |
아스타나 | 2-2 | 0-0 | 2-2 | — |
C조의 경기들은 2015년 9월 15일부터 12월 8일까지 진행되었다. 주요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 2015년 9월 15일, 튀르크 텔레콤 아레나에서 열린 갈라타사라이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경기에서는 그리즈만의 2골에 힘입어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2-0으로 승리했다.
- 같은 날 이스타디우 다 루즈에서 열린 벤피카와 아스타나의 경기에서는 가이탄과 미트로글루의 골로 벤피카가 2-0으로 승리했다.
- 9월 30일 비센테 칼데론에서 열린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와 벤피카의 경기에서는 가이탄과 게드스의 연속 골로 벤피카가 2-1 역전승을 거두었다.
- 10월 21일 튀르크 텔레콤 아레나에서 열린 갈라타사라이와 벤피카의 경기에서는 가이탄이 경기 시작 2분 만에 선제골을 넣었으나, 이난과 포돌스키의 연속골로 갈라타사라이가 2-1로 승리하였다.
- 11월 3일 아스타나 아레나에서 열린 아스타나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경기는 0-0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 11월 25일 비센테 칼데론에서 열린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와 갈라타사라이의 경기에서는 그리즈만이 2골을 넣어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2-0으로 승리했다.
- 12월 8일 이스타디우 다 루즈에서 열린 벤피카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경기에서는 니게스와 비에토의 골로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2-1로 승리했다.
7. 4. D조
2015-16년 UEFA 챔피언스리그 D조에서는 맨체스터 시티(4승 0무 2패, 12득점 8실점)와 유벤투스(3승 2무 1패, 6득점 3실점)가 각각 1, 2위로 16강에 진출했다. 세비야(2승 0무 4패, 8득점 11실점)는 조 3위로 유로파리그 32강에 진출했고, 보루시아 묀헨글라드바흐(1승 2무 3패, 8득점 12실점)는 조 최하위로 탈락했다.- 2015년 9월 15일, 맨체스터 시티는 유벤투스와의 홈 경기에서 1-2로 패했다. 같은 날 세비야는 보루시아 묀헨글라드바흐를 3-0으로 이겼다.
- 2015년 9월 30일, 보루시아 묀헨글라드바흐는 맨체스터 시티와의 홈 경기에서 1-2로 패했다. 유벤투스는 세비야를 2-0으로 이겼다.
- 2015년 10월 21일, 유벤투스와 보루시아 묀헨글라드바흐는 0-0으로 비겼다. 맨체스터 시티는 세비야를 2-1로 이겼다.
- 2015년 11월 3일, 보루시아 묀헨글라드바흐와 유벤투스는 1-1로 비겼다. 세비야는 맨체스터 시티와의 홈 경기에서 1-3으로 패했다.
- 2015년 11월 25일, 유벤투스는 맨체스터 시티를 1-0으로 이겼다. 보루시아 묀헨글라드바흐는 세비야를 4-2로 이겼다.
- 2015년 12월 8일, 맨체스터 시티는 보루시아 묀헨글라드바흐를 4-2로 이겼다. 세비야는 유벤투스를 1-0으로 이겼다.
7. 5. E조
2015-16년 UEFA 챔피언스리그 E조에서는 바르셀로나(스페인)가 4승 2무로 1위를 차지했고, 로마(이탈리아)가 1승 3무 2패로 그 뒤를 이었다. 레버쿠젠(독일)과 바테 보리소프(벨라루스)는 각각 1승 3무 2패, 1승 2무 3패를 기록했다.- 2015년 9월 16일, 로마는 스타디오 올림피코에서 바르셀로나와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 같은 날, 레버쿠젠은 바이아레나에서 바테 보리소프를 4:1로 이겼다.
- 2015년 9월 29일, 바르셀로나는 캄 노우에서 레버쿠젠을 2:1로 이겼다.
- 같은 날, 바테 보리소프는 보리소프 아레나에서 로마를 3:2로 이겼다.
- 2015년 10월 20일, 바테 보리소프는 보리소프 아레나에서 바르셀로나에 0:2로 패배했다.
- 같은 날, 레버쿠젠은 바이아레나에서 로마와 4:4 무승부를 기록했다.
- 2015년 11월 4일, 바르셀로나는 캄 노우에서 바테 보리소프를 3:0으로 이겼다.
- 같은 날, 로마는 올림피코 경기장에서 레버쿠젠을 3:2로 이겼다.
- 2015년 11월 24일, 바테 보리소프는 보리소프 아레나에서 레버쿠젠과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 같은 날, 바르셀로나는 캄 노우에서 로마를 6:1로 크게 이겼다.
- 2015년 12월 9일, 레버쿠젠은 바이아레나에서 바르셀로나와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 같은 날, 로마는 올림피코 경기장에서 바테 보리소프와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7. 6. F조
2015-16년 UEFA 챔피언스리그 F조에서는 바이에른 뮌헨(독일)과 아스널(잉글랜드)이 각각 1, 2위로 16강에 진출했다. 올림피아코스(그리스)는 3위로 유로파리그 32강에 진출했고, 디나모 자그레브(크로아티아)는 4위로 탈락했다.- 2015년 9월 16일, 디나모 자그레브는 스타디온 막시미르에서 아스널을 2-1로 이겼다.
- 같은 날 올림피아코스는 카라이스카키스 스타디움에서 바이에른 뮌헨에게 0-3으로 패했다.
- 9월 29일, 아스널은 에미레이트 스타디움에서 올림피아코스에게 2-3으로 졌다.
- 같은 날 바이에른 뮌헨은 알리안츠 아레나에서 디나모 자그레브를 5-0으로 대파했다.
- 10월 20일, 아스널은 에미레이트 스타디움에서 바이에른 뮌헨을 2-0으로 이겼다.
- 같은 날 디나모 자그레브는 스타디온 막시미르에서 올림피아코스에게 0-1로 패했다.
- 11월 4일, 바이에른 뮌헨은 알리안츠 아레나에서 아스널을 5-1로 대파했다.
- 같은 날 올림피아코스는 카라이스카키스 스타디움에서 디나모 자그레브를 2-1로 이겼다.
- 11월 24일, 아스널은 에미레이트 스타디움에서 디나모 자그레브를 3-0으로 이겼다.
- 같은 날 바이에른 뮌헨은 알리안츠 아레나에서 올림피아코스를 4-0으로 대파했다.
- 12월 9일, 디나모 자그레브는 스타디온 막시미르에서 바이에른 뮌헨에게 0-2로 패했다.
- 같은 날 올림피아코스는 카라이스카키스 스타디움에서 아스널에게 0-3으로 패하며 16강 진출에 실패했다.
7. 7. G조
2015-16년 UEFA 챔피언스리그 G조에서는 첼시와 디나모 키예프가 각각 4승 1무 1패, 3승 2무 1패를 기록하며 16강에 진출했다. 포르투는 3승 1무 2패로 조 3위를 기록하여 유로파리그 32강에 진출했고, 마카비 텔아비브는 6전 전패로 조 최하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2015년 9월 16일, 첼시는 스탬포드 브릿지에서 마카비 텔아비브를 4-0으로 대파했다. 같은 날 디나모 키예프는 발레리 로바노우스키 디나모 경기장에서 포르투와 2-2 무승부를 기록했다. 9월 29일, 포르투는 이스타디우 두 드라강에서 첼시를 2-1로 꺾었고, 마카비 텔아비브는 블룸필드 경기장에서 디나모 키예프에 0-2로 패배했다.
10월 20일, 포르투는 이스타디우 두 드라강에서 마카비 텔아비브를 2-0으로 이겼고, 디나모 키예프는 발레리 로바노우스키 디나모 경기장에서 첼시와 0-0으로 비겼다. 11월 4일, 마카비 텔아비브는 블룸필드 경기장에서 포르투에 1-3으로 패배했고, 첼시는 스탬퍼드 브리지에서 디나모 키예프를 2-1로 이겼다.
11월 24일, 포르투는 이스타디우 두 드라강에서 디나모 키예프에 0-2로 패배했고, 마카비 텔아비브는 블룸필드 경기장에서 첼시에 0-4로 대패했다. 12월 9일, 디나모 키예프는 올림피스키 경기장에서 마카비 텔아비브를 1-0으로 꺾었고,[73] 첼시는 스탬퍼드 브리지에서 포르투를 2-0으로 제압하며 조 1위를 확정지었다.
7. 8. H조
2015-16년 UEFA 챔피언스리그 H조에서는 제니트(러시아)가 5승 1패, 헨트(벨기에)가 3승 1무 2패를 기록하며 16강에 진출했다. 발렌시아(스페인)는 2승 4패, 리옹(프랑스)은 1승 1무 4패로 탈락했다.
2015년 9월 16일, 발렌시아에서 열린 발렌시아와 제니트의 경기에서는 헐크의 2골과 비첼의 골로 제니트가 3-2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헨트의 겔람코 아레나에서 열린 헨트와 리옹의 경기는 1-1 무승부로 끝났다.
9월 29일 스타드 드 제를랑에서 열린 리옹과 발렌시아의 경기에서는 페굴리의 골로 발렌시아가 1-0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페트롭스키 스타디움에서 열린 제니트와 헨트의 경기에서는 주바와 샤토프의 골로 제니트가 2-1 승리를 거두었다.
10월 20일 페트롭스키 스타디움에서 열린 제니트와 리옹의 경기에서는 주바, 헐크, 다니의 골로 제니트가 3-1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에스타디오 데 메스타야에서 열린 발렌시아와 헨트의 경기에서는 발렌시아가 2-1 승리를 거두었다.
11월 4일 스타드 드 제를랑에서 열린 리옹과 제니트의 경기에서는 주바의 2골로 제니트가 2-0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겔람코 아레나에서 열린 헨트와 발렌시아의 경기에서는 쿰스의 골로 헨트가 1-0 승리를 거두었다.
11월 24일 페트로프스키 경기장에서 열린 제니트와 발렌시아의 경기에서는 샤토프와 주바의 골로 제니트가 2-0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스타드 드 제를랑에서 열린 리옹과 헨트의 경기에서는 밀리체비치와 쿨리발리의 골로 헨트가 2-1 승리를 거두었다.
12월 9일 메스타야 경기장에서 열린 발렌시아와 리옹의 경기에서는 코르네와 라카제트의 골로 리옹이 2-0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겔람코 아레나에서 열린 헨트와 제니트의 경기에서는 드푸아트르와 밀리체비치의 골로 헨트가 2-1 승리를 거두었다.
8. 결선 토너먼트
토너먼트 단계에서, 팀들은 결승전을 제외하고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두 경기를 치렀다. 각 라운드 추첨 방식은 다음과 같다.
- 16강 추첨에서, 8개 조의 조 1위 팀은 시드를 배정받았고, 8개 조의 조 2위 팀은 시드를 배정받지 않았다. 시드를 받은 팀은 시드를 받지 않은 팀과 맞붙었고, 시드를 받은 팀이 2차전을 홈에서 치렀다. 같은 조 또는 같은 협회에 속한 팀은 서로 대결할 수 없었다.
- 8강부터는 시드가 없었으며, 같은 조 또는 같은 협회에 속한 팀도 서로 대결할 수 있었다.
== 16강전 ==
16강전은 2015년 12월 14일에 대진 추첨이 진행되었다.[34][35] 1차전은 2016년 2월 16일, 17일, 23일, 24일에, 2차전은 3월 8일, 9일, 15일, 16일에 각각 치러졌다.
팀 1 | 팀 2 | 합계 | 1차전 | 2차전 | |
---|---|---|---|---|---|
헨트 | 볼프스부르크 | 2-4 | 2-3 | 0-1 | |
로마 | 레알 마드리드 | 0-4 | 0-2 | 0-2 | |
파리 생제르맹 | 첼시 | 4-2 | 2-1 | 2-1 | |
아스널 | 바르셀로나 | 1-5 | 0-2 | 1-3 | |
유벤투스 | 바이에른 뮌헨 | 4-6 | 2-2 | 2-4 | |
PSV 에인트호번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0-0 (7-8) | 0-0 | 0-0 | |
벤피카 | 제니트 | 3-1 | 1-0 | 2-1 | |
디나모 키예프 | 맨체스터 시티 | 1-3 | 1-3 | 0-0 |
== 8강전 ==
2016년 3월 18일에 8강전 대진 추첨이 진행되었다.[36][37] 1차전은 4월 5일과 6일에, 2차전은 2016년 4월 12일과 13일에 각각 열렸다.
팀 1 | 팀 2 | 1차전 | 2차전 | 합계 | |
---|---|---|---|---|---|
볼프스부르크 | 2- 3 | 레알 마드리드 | 2- 0 | 0- 3 | |
바이에른 뮌헨 | 3- 2 | 벤피카 | 1- 0 | 2- 2 | |
바르셀로나 | 2- 3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2- 1 | 0- 2 | |
파리 생제르맹 | 2- 3 | 맨체스터 시티 | 2- 2 | 0- 1 |
- 바이에른 뮌헨과 벤피카의 1차전 경기는 2016년 4월 5일 뮌헨의 알리안츠 아레나에서 열렸으며, 비달의 득점에 힘입어 바이에른 뮌헨이 1-0으로 승리하였다. 2차전 경기는 2016년 4월 13일 리스본의 이스타디우 다 루즈에서 열렸으며, 히메네즈와 안데르손 탈리스카/Anderson Taliscapt가 득점하고, 비달과 뮐러가 득점을 하여 2-2 무승부로 끝났다. 결과적으로 바이에른 뮌헨이 합계 3-2로 승리하였다.
- 바르셀로나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1차전 경기는 2016년 4월 5일 바르셀로나의 캄프 누에서 열렸으며, 페르난도 토레스가 득점하고, 루이스 수아레스/Luis Alberto Suárezes가 2골을 넣어 바르셀로나가 2-1로 승리하였다. 2차전 경기는 2016년 4월 13일 마드리드의 비센테 칼데론 경기장에서 열렸으며, 그리즈만의 2골로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2-0으로 승리하였다. 결과적으로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합계 3-2로 승리하였다.
- 볼프스부르크와 레알 마드리드의 1차전 경기는 2016년 4월 6일 볼프스부르크의 폴크스바겐 아레나에서 열렸으며, 리카르도 로드리게스/Ricardo Rodríguezes와 아르놀트의 득점으로 볼프스부르크가 2-0으로 승리하였다. 2차전 경기는 2016년 4월 12일 마드리드의 산티아고 베르나베우에서 열렸으며, 호날두가 3골을 넣어 레알 마드리드가 3-0으로 승리하였다. 결과적으로 레알 마드리드가 합계 3-2로 승리하였다.
- 파리 생제르맹과 맨체스터 시티의 1차전 경기는 2016년 4월 6일 파리의 파르크 데 프랭스에서 열렸으며, 더 브라위너와 페르난지뉴가 득점하고, 이브라히모비치와 라비오가 득점하여 2-2 무승부로 끝났다. 2차전 경기는 2016년 4월 12일 맨체스터의 에티하드 경기장에서 열렸으며, 더 브라위너의 득점에 힘입어 맨체스터 시티가 1-0으로 승리하였다. 결과적으로 맨체스터 시티가 합계 3-2로 승리하였다.
== 준결승전 ==
준결승전은 2016년 4월 15일에 추첨이 진행되었다.[38][39][61] 1차전은 4월 26일과 27일에, 2차전은 5월 3일과 4일에 열렸다.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맨체스터 시티 | 0-1 | 레알 마드리드 | 0-0 | 0-1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a) 2-2 | 바이에른 뮌헨 | 1-0 | 1-2 |
레알 마드리드는 페르난두 프란시스쿠 헤제스/Fernando Francisco Regespt의 자책골로 맨체스터 시티를 상대로 합계 1-0 승리를 거두었다.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는 바이에른 뮌헨을 상대로 합계 2-2를 기록했지만 원정 다득점 규칙에 따라 결승전에 진출했다.
8. 1. 16강전
16강전은 2015년 12월 14일에 대진 추첨이 진행되었다.[34][35] 1차전은 2016년 2월 16일, 17일, 23일, 24일에, 2차전은 3월 8일, 9일, 15일, 16일에 각각 치러졌다.팀 1 | 팀 2 | 합계 | 1차전 | 2차전 | |
---|---|---|---|---|---|
헨트 | 볼프스부르크 | 2:4 | 2:3 | 0:1 | |
로마 | 레알 마드리드 | 0:4 | 0:2 | 0:2 | |
파리 생제르맹 | 첼시 | 4:2 | 2:1 | 2:1 | |
아스널 | 바르셀로나 | 1:5 | 0:2 | 1:3 | |
유벤투스 | 바이에른 뮌헨 | 4:6 | 2:2 | 2:4 | |
PSV 에인트호번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0:0 (7:8) | 0:0 | 0:0 | |
벤피카 | 제니트 | 3:1 | 1:0 | 2:1 | |
디나모 키예프 | 맨체스터 시티 | 1:3 | 1:3 | 0:0 |
8. 2. 8강전
2016년 3월 18일에 8강전 대진 추첨이 진행되었다.[36][37] 1차전은 4월 5일과 6일에, 2차전은 2016년 4월 12일과 13일에 각각 열렸다.팀 1 | 팀 2 | 1차전 | 2차전 | 합계 | |
---|---|---|---|---|---|
볼프스부르크 | 2: 3 | 레알 마드리드 | 2: 0 | 0: 3 | |
바이에른 뮌헨 | 3: 2 | 벤피카 | 1: 0 | 2: 2 | |
바르셀로나 | 2: 3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2: 1 | 0: 2 | |
파리 생제르맹 | 2: 3 | 맨체스터 시티 | 2: 2 | 0: 1 |
- 바이에른 뮌헨과 벤피카의 1차전 경기는 2016년 4월 5일 뮌헨의 알리안츠 아레나에서 열렸으며, 비달의 득점에 힘입어 바이에른 뮌헨이 1:0으로 승리하였다. 2차전 경기는 2016년 4월 13일 리스본의 이스타디우 다 루즈에서 열렸으며, 히메네즈와 안데르손 탈리스카가 득점하고, 비달과 뮐러가 득점을 하여 2:2 무승부로 끝났다. 결과적으로 바이에른 뮌헨이 합계 3:2로 승리하였다.
- 바르셀로나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1차전 경기는 2016년 4월 5일 바르셀로나의 캄프 누에서 열렸으며, 페르난도 토레스가 득점하고, 루이스 수아레스가 2골을 넣어 바르셀로나가 2:1로 승리하였다. 2차전 경기는 2016년 4월 13일 마드리드의 비센테 칼데론 경기장에서 열렸으며, 그리즈만의 2골로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2:0으로 승리하였다. 결과적으로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합계 3:2로 승리하였다.
- 볼프스부르크와 레알 마드리드의 1차전 경기는 2016년 4월 6일 볼프스부르크의 폴크스바겐 아레나에서 열렸으며, R. 로드리게스와 아르놀트의 득점으로 볼프스부르크가 2:0으로 승리하였다. 2차전 경기는 2016년 4월 12일 마드리드의 산티아고 베르나베우에서 열렸으며, 호날두가 3골을 넣어 레알 마드리드가 3:0으로 승리하였다. 결과적으로 레알 마드리드가 합계 3:2로 승리하였다.
- 파리 생제르맹과 맨체스터 시티의 1차전 경기는 2016년 4월 6일 파리의 파르크 데 프랭스에서 열렸으며, 더 브라위너와 페르난지뉴가 득점하고, 이브라히모비치와 라비오가 득점하여 2:2 무승부로 끝났다. 2차전 경기는 2016년 4월 12일 맨체스터의 에티하드 경기장에서 열렸으며, 더 브라위너의 득점에 힘입어 맨체스터 시티가 1:0으로 승리하였다. 결과적으로 맨체스터 시티가 합계 3:2로 승리하였다.
8. 3. 준결승전
준결승전은 2016년 4월 15일에 추첨이 진행되었다.[38][39][61] 1차전은 4월 26일과 27일에, 2차전은 5월 3일과 4일에 열렸다.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맨체스터 시티 | 0 : 1 | 레알 마드리드 | 0 : 0 | 0 : 1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a) 2 : 2 | 바이에른 뮌헨 | 1 : 0 | 1 : 2 |
레알 마드리드는 페르난두의 자책골로 맨체스터 시티를 상대로 합계 1:0 승리를 거두었다.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는 바이에른 뮌헨을 상대로 합계 2:2를 기록했지만 원정 다득점 규칙에 따라 결승전에 진출했다.
9. 결승전
2016년 5월 28일 밀라노의 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에서 열린 2015-16년 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은 레알 마드리드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맞붙었다. 경기는 연장전까지 1:1로 진행되었으며, 라모스가 선제골을 넣고, 카라스코가 동점골을 기록했다. 승부차기에서 레알 마드리드가 5:3으로 승리했다. 바스케스, 마르셀루, 베일, 라모스, 호날두가 승부차기에 성공했다.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에서는 그리즈만, 가비, 사울이 성공했지만, 후안프란은 실축하였다. 이날 경기의 관중 수는 71,942명이었으며, 마크 클래튼버그가 심판을 맡았다.
10. 우승
레알 마드리드
11번째 우승